1. 캐시 메모리 일관성(Cache coherence)
일관성 유지 메커니즘
멀티프로세서 환경에서 각 프로세서가 캐시를 보유하며 캐시에 로드된 데이터를 벼경한 경우 주기억장치의 데이터와 동일하게 유지됨
2. 캐시 불일치
캐시 쓰기 정책
불일치 상황을 설명하기 전 캐시 쓰기 정책은 두가지로 나누어 진다.
Write-Through 정책
모든 쓰기를 캐시와 메모리에 동시에 쓴다.
Write-Back 정책
캐시에 우선 반영 후 메모리에 쓴다. 캐시 라인이 교체시에만 메모리에 쓴다.
Write-back 정책 사용 가정시 발생하는 불일치
첫번째 프로세서의 값을 2로 갱신하였을 때, 캐시라인이 교체되지 않을 때 까지 캐시와 메모리의 값이 불일치 한다.
Write-Through 정책 사용 가정시 발생하는 불일치
첫번째 프로세서의 값을 2로 갱신하였을 때, Proc1과 주 메모리의 값은 같이 갱신되지만 Proc2와 Proc3은 갱신되지 않아 불일치 한다.
3. 가상 메모리 시스템 (Virtual Memory System)
이름만 봐도 알겠지만 주 기억장치(ex. ram)의 용량이 부족하여 보조기억장치(ex. hdd)를 주기억장치 처럼 사용하여 메모리의 공간을 확대한다.
가상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 VAS(Virtual Address Space)를 사용한다.
※VAS(Virtual Address Space)? = 가상 주소 공간
가상 메모리 기법으로 제고되는 주소 공간으로,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주소이다.
-위키백과-
가상 메모리 관리 단위
페이지(Page) : 가상 기억장치 상에서 동일한 크기의 최소 논리 분할 단위
세그먼트(Segement) : 사용자 주소 공간을 용도별로 논리적 단위로 나눈 것
이름 |
Paging 기법 |
Segement 기법 |
할당 |
고정 분할 |
가변 분할 |
적재 |
요구 페이지에 일부 적재 |
프로그램 전체 적재 |
관점 |
메모리 관리 측면 |
파일 관리 측면ㅇ |
장점 |
요구 페이지만 적재 |
사용자 관점 코드, 데이터 공유 용이 |
단점 |
내부 단편화 발생 |
외부 단편화 발생 메인 메모리 다량 요구 |
관리 정책
이름 |
내용 |
예 |
할당 기법 Allocation |
프로세스에게 할당되는 메모리 블록의 단위 결정 |
고정 할당 가변 할당 Paging Segmentation |
호출 기법 Fetch Policy |
보조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시점 결정 |
Demand Fetch Pre Fetch |
배치 기법 Placement |
요구된 페이지를 주기억장치의 어느 곳에 적재할 것인지 결정 |
First fit Best fit Next fit Worst fit |
교체 기법 Replacement |
주기억장치 공간 부족 시 교체 대상 결정 |
Random FIFO LRU LFU NUR SCR Optimal |
할당 정책(Allocation Policy)
이름 |
종류 |
내용 |
연속 할당 |
고정 분할 |
고정된 크기의 단위 메모리 할당 내부 단편화 발생 |
가변 분할 |
할당 단위를 요청마다 다른 크기로 할당 |
|
비연속 할당 |
Paging |
가상 메모리 블록을 페이지 단위 관리 TLB와 MMUm Page Table로 관리 |
Segmentation |
가변 크기인 세그먼트로 분할 Segement Table로 관리 |
'Etc. > 공부 요약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 보안 개론] 시스템 보안 2 (0) | 2017.06.10 |
---|---|
[정보 보안 개론] 시스템 보안 1 (0) | 2017.06.10 |
[정보보안산업기사] 시스템 보안_컴퓨터 시스템 4 (0) | 2017.05.15 |
[정보보안산업기사] 시스템 보안_컴퓨터 시스템 2 (0) | 2017.05.13 |
[정보보안산업기사] 시스템 보안_컴퓨터 시스템 1 (0) | 2017.05.12 |